RPM9

문화예술
HOME > 문화예술 > ET-ENT영화

[ET-ENT 영화] ‘중지손가락’(감독 한정재) 201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18)

발행일 : 2018-02-02 10:34:48

한정재 감독의 ‘중지손가락(Middle Finger)’은 2018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상영작인 단편영화이다. 민혁(안민혁 분)과 선기(조선기 분), 상훈(윤정로 분)의 이야기인데, 그냥 있는 그대로 이해할 수도 있는 그대로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는 영화이다.

영화 중반부까지는 민혁과 선기, 상훈의 관계가 너무나도 명확한데, 작은 반전에 이은 큰 반전이 이뤄나고 나면 상훈처럼 관객은 어떻게 느껴야 할지 혼란스러울 수도 있다.

‘중지손가락’ 스틸사진. 사진=201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제공 <‘중지손가락’ 스틸사진. 사진=201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제공>

◇ 남학생들 간의 폭력, 알 수도 있을 것 같고 그렇다고 아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도 드는 관계

‘중지손가락’은 남학생들 간의 폭력을 직관적으로 보여준다. 비슷한 경험이 있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감정이입한 관객과 그냥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관객 간의 온도차는 클 수 있는데, 오히려 감정이입한 관객들이 더욱 배신감을 느낄 수도 있다.

관객은 상훈보다는 민혁에 감정이입할 가능성이 많고, 성향에 따라서는 선기에게 감정이입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서 공감하게 되고 다독여주고 싶은 사람은 의외로 상훈이가 될 가능성이 많다.

몰입한 관객은 두 번 이상 억울할 수 있다. 민혁이 맞을 때 내가 맞는 것처럼 아프고 억울할 수 있고, 민혁이 저항하지도 못할 때 답답하고 억울할 수도 있는데, 결국 마지막에는 상훈과 같은 심정으로 억울함을 느낄 수도 있다.

◇ 민혁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가? 선기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는가?

‘중지손가락’에는 생략됐다고 추정되는 부분이 있는데, 중학생일 때와 고등학생이 됐을 때 민혁과 선기의 위치 변화이다. 과정에 대한 설명과 안내, 교감의 시간이 생략돼 있기 때문에 민혁의 행동도 선기의 행동도 쉽사리 이해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영화를 다시 돌려보면서 철저하게 민혁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철저하게 선기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그들이 각자 선택한 행동은 나름대로 최선을 다한 것일 수도 있다고 여겨진다.

‘중지손가락’ 한정재 감독. 사진=201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제공 <‘중지손가락’ 한정재 감독. 사진=201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제공>

◇ 민혁, 선기, 상훈이 모두 남학생이 아닌 여학생이었다면? 패거리도 모두 여학생이고 선기 모와 민혁 모 대신에 선기 부와 민혁 부가 등장한다면?

‘중지손가락’이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인지, 남학생들만의 특별한 상황에서의 이야기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영화 속 등장인물의 성별을 모두 바꾼다고 가정하자.

민혁, 선기, 상훈이 모두 여학생이고, 패거리1(김태윤 분), 패거리2(김의연 분), 패거리3(김건하 분) 또한 모두 여학생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선기 모(김영선 분)와 민혁 모(홍정혜 분)는 선기 부와 민혁 부로 변경할 수 있다.

모두 여학생으로 바꿀 경우 폭력의 수위와 디테일은 달라질 수 있는데, 그 구도는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관객은 남자 민혁보다 여자 민혁에게 더 배신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철저하게 내면을 감추는 것이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폭력의 수위가 줄어든다고 추가로 가정할 경우, 남자 선기보다 여자 선기가 더 개연성 있다고 생각될 수 있다. 폭력의 수위가 좁혀진다면, 남자 선기에 대한 개연성 또한 늘어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여학생 버전의 ‘중지손가락’이 만들어지면 실제로 어떤 느낌일지 궁금해진다.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

최신포토뉴스

위방향 화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