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안산국제거리극축제(Ansan Street Arts Festival 2018) 참가작인 스페인 모베오(Compagnie Moveo)의 <일탈(CONSEQÜÈNCIES)>이 5월 5일부터 7일까지 안산문화광장에서 공연 중이다.
구체적인 행동과 동작을 예술적이고 안무적으로 연결하면서 무용수들이 만드는 호흡이 인상적인 작품인데, 관객을 무대에 참여하게 만드는 디테일과 참여한 관객이 다시 관객석으로 돌아가도록 만드는 디테일 또한 돋보이는 작품이다.
◇ 바닥에서 진짜 무슨 소리가 나는 것인가?
<일탈>에서 남녀 무용수는 무대 바닥에 귀를 대고 무슨 소리를 듣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관객을 무대로 불러 같은 동작을 취하게 만든다. 처음에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단순한 퍼포먼스라고 생각됐는데, 같은 장면이 계속 반복되니 진짜 무슨 소리가 들릴 수도 있다는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반복의 힘은 의도가 무엇일까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데, 관객은 무용수들의 움직임으로 무대 바닥에서 나는 소리를 상상하게 된다. 바닥의 소리를 듣게 하면서 관객을 참여하게 만드는데, 이런 체험을 아이들은 시키는 대로 잘한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일탈>의 무용수들은 바닥에 의미를 부여한다. 바닥을 구르고 뒹굴기도 하면서 공간을 넓게 사용한다. 관객이 사각으로 앉음으로써 공연장이 형성됐는데, 야외 공간에 관객 배치를 통해 사각의 무대를 만든 것이다.
<일탈>에서 일탈을 공간적인 요소로 해석하면, 지상으로부터 일탈의 방향은 하늘이 아닌 땅속일 수도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나(내 행동)를 이해하지 못 하냐?”라는 질문을 무대 위 무용수는 관객에게 반복해 던지는데, 계속 듣다 보면 이해를 해야지 공연을 잘 보고 있는 것인지 이해를 하지 않아야 공연의 취지를 따라가는 것인지 궁금해지기도 한다.
◇ 즉흥적 요소를 포함해 완급 조절이 뛰어난 안무
<일탈>은 즉흥적 요소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빠르게 움직이다가 슬로모션으로 전환하는 안무는 인상적이다. 관객 같은 느낌을 주던 여자는 무대에 억지로 끌려 나온 뒤 무용수의 리드를 어느 정도 잘 따라갔는데, 외국 관객은 이런 공연에도 적응을 잘한다고 받아들일 때쯤 관객이 아니라 모베오의 무용수였다는 것을 알게 된다.
다른 사람의 몸을 밟고 오르면서 균형을 맞추는 안무는 감정이입한 관객에게 내 몸을 밟고 가는 것 같은 아픔을 선사하는데, 무대 바닥도 아니고 흙바닥도 아닌, 공원의 돌바닥에서 구르는 것만으로도 아플 텐데 밟히기까지 한다는 점은 몰입된 관객에게 자신의 진짜 느낌처럼 여기게 만들고 있다.
무용수들은 피가 몰려 얼굴이 새빨갛게 될 때까지 계속 안무의 강도를 높이기도 했다. 세 명의 남자 무용수와 두 명의 여자 무용수는 소동극을 몸으로 표현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상대를 거칠게 다루는 것처럼 보이지만 세심한 배려가 뒷받침되고 있어서 관객은 복합적으로 느낄 수밖에 없다.
유연성과 힘, 균형감이 동시에 필요한 안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음악은 강하게 몰아치다가 적막을 유지하기도 한다. 음악 또한 즉흥적 느낌과 완급 조절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공연의 제목은 <일탈>인데 안무는 연관성, 연결성, 균형과 조화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에디트 피아트가 불렀던 샹송 ‘사랑의 찬가’가 공연 시작과 끝을 맡고 있는데, 격렬하고 인상적인 움직임이 사랑의 정서라는 틀 안에서 이뤄진 것처럼 느껴진다.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