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혜선 감독의 <미스터리 핑크>는 제44회 서울독립영화제(SIFF2018, 서독제2018) 특별초청 부문에서 상영되는 단편 영화이다. 사랑이라는 파괴적이고 미스터리한 감정들을 시간과 공간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영화에서 전하고자 하는 분명한 메시지는 대사와 사건보다는 행동을 통해 이미지적으로 전달된다. 알려주려는 듯 알려주지 않으려는 듯한 전개는 마치 감독이 관객과 흥미로운 밀당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 정말 ‘미스터리’하게 진행돼 어디인지, 누구인지, 왜인지, 어떤 상황인지 궁금하게 만드는 작품
<미스터리 핑크>는 영화 속 여기가 어떤 곳인지, 지금이 어떤 상황인지, 여기 있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왜 여기 있는지 친절하게 알려주지 않고 시작한다. 대사를 통해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많은 함의적 내용을 담고 있는 대사 하나에 집중하다 보면 다음 대사를 놓칠 수도 있다.
영화 초반 양동근과 서현진을 바라보는 카메라는 의도적으로 흔들리는데, 그들의 상황이나 내면이 불안해서 흔들리는 것인지, 아니면 그들을 안정되게 볼 수 없다는 것을 카메라의 움직임을 통해 알려주려고 하는 것인지 궁금해진다.
핑크색의 작은 문을 통해 들여다볼 때 보이는 박정숙, 윤다경, 현승민은 서현진과 어떤 관계에 있는 사람들인지도 알고 싶은데, 영화 제목이 전체적인 정서를 무척 상징적으로 잘 표현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 이유를 말하고 싶은 사람과 알고 싶지 않은 남자의 대화! 관객과의 절묘한 밀당!
이유를 말하고 싶은 사람과 알고 싶지 않은 남자의 대화는 관객의 궁금증과 호기심에 대해 들었다 놨다를 반복한다. 한 사람은 알려주려고 하기도 하고, 다른 한 사람은 알고 싶지 않다고 하는 것은, 결국 관객과의 절묘한 밀당을 영화 속의 등장인물들을 통해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작품이 단편 영화라는 것을 알고 관람하기 시작하면 영화가 끝나기 전에 그 이유를 알 수 있을지에 대한 초조함이 생길 수도 있다. 만약 장편 영화였으면 기다리면 언젠가 이유가 나올 것이라고 기대할 수도 있지만, 단편 영화이기 때문에 열린 결말로 끝낼 수도 있고 이유를 알려주더라도 충분한 설명을 뒷받침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을 관람한 관객은 관객과의 대화(GV; Guest Visit)를 기다리게 될 것이다. 분명히 의미 있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데, 아주 모르겠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모두 알아듣겠다고 느껴지지도 않는 상황에서의 궁금증을 빨리 해소하고 싶기 때문이다.
◇ 이미지적인 측면이 무척 중요한 영화
<미스터리 핑크>는 진짜로 사랑했는지에 대한 질문을 계속 던지는데, 그때 말을 하고 듣는 사람들과 그 주변을 어떤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는지가 인상적이다. 문을 통해서 보이는 모습이 180도 반대 방향이라는 것은, 문을 경계로 양쪽에 있는 사람들이 사랑에 대해 기억하는 것도 반대 방향일 수 있다고 추정하게 만든다.
<미스터리 핑크>는 파괴적인 미스터리는 당신의 자화상이라는 것을 표현하고 있는데, 알 수 없는 것을 알게 해주는 것이 이미지적 표현이다. 등장인물에 감정이입하는 것 못지않게 감독에게 감정이입했을 때 더 많은 것이 느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