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태 감독의 <양자물리학(By Quantum Physics: A Nightlife Venture)>에서 승부수라고 던졌는데 무리수였던 상황과 선택을 보면서, 현실에서 우리 각자도 그런 선택과 행동을 하지 않을까 뒤돌아보게 된다. 성은영(서예지 분)에 대한 이찬우(박해수 분)의 감정 변화는 영화의 스토리텔링 및 반전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 가볍고 편하게 볼 수 있는 영화인가? 반전에 반전이 왜 이뤄졌는지 디테일을 따지며 봐야 하는 영화인가?
<양자물리학>의 제목만 보면, ‘생각이 현실을 바꾼다’라는 양자물리학적 신념을 인생의 모토로 삼은 찬우의 가치관을 보여주며 정말 어렵게 펼쳐질 수 있겠구나 상상할 수 있는데, 직접 관람하면 크게 에너지를 쓰지 않고도 편하게 즐기며 볼 수 있는 영화라고 영화 초반에 느낄 수 있다.
그렇지만 가벼움만으로 채우지는 않는 영화로, 점점 가벼움과 무거움이 섞여 있는 영화라고 느껴진다. 영화 후반부에 가면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데, 어떤 연결고리와 디테일로 이뤄진 건지 따지기 시작하면 다시 쉽지 않은 영화로 느껴진다.
<양자물리학>은 관객의 성향에 따라 쉽게 볼 수도 어렵게 볼 수도 있고, 가치와 신념에 초점을 맞춰 볼 수도 있고 그냥 스토리텔링을 즐기면서 볼 수도 있는 영화이다. 영화는 ‘양자물리학’을 제목으로 선정했고, 이찬우를 유흥계의 ‘화타’라고 표현하는 등의 무리수를 던졌는데, 담백하게 접근했으면 관객들은 불필요한 선입견과 어긋난 기대감에 방해받지 않고 더 편하게 영화를 볼 수 있을 것이다.
◇ 찬우가 은영에 대해 가지는 마음의 변화! 마지막에 결국 처음의 마음으로?
<양자물리학>에서 찬우가 은영에 대해 가지는 마음의 변화는 영화의 스토리텔링 및 반전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생각이 현실이 된다’라는 말에 처음에 가슴이 뛰었다는 찬우는 핫한 유흥업소의 대표이지만, 손님이 남긴 술을 먹는 등 색다른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황금인맥을 자랑하는 업계 퀸 은영에 대해 찬우가 처음 가진 마음은 호감과 존중이었다. 처음에는 설렘과 경외감을 동시에 가졌다고 볼 수 있는데, 은영의 선택과 행동으로 인해 분노가 생겼을 때 어쩌면 은영에 대한 분노보다는 자신이 좋아하는 여자에게 분노해야 한다는 자신에 대한 분노가 더 컸을 수도 있다.
은영이 왜 그랬는지를 이해하면서 분노는 동정으로 바뀌고 그 동정은 다시 초심의 마음과 연결돼 믿음과 협조로 이어진다. 은영의 어쩔 수 없는 선택을 이해하는 찬우의 모습은 인상적인데, 그 사건만 이해해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은영의 삶을 이해하고 인정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양자물리학>의 관객은 찬우 마음의 변화에 대해 그럴 수 있다고 받아들일 수도 있고, 현실적으로 저렇게 하기는 어렵다고 불편한 마음을 드러낼 수도 있다. 박해수의 연기력은 관객이 어느 쪽으로 해석하고 받아들여도 될 수 있도록 만드는데, <양자물리학>을 계기로 박해수는 주연으로서의 존재감과 매력을 더욱 발휘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승부수라고 던졌는데 무리수였다?
<양자물리학>은 반전에 반전을 거듭한다. 이찬우, 성은영뿐만 아니라 범죄정보과 계장 박기헌(김상호 분), 조폭 정갑택(김응수 분), 배후의 검은 손 백영감(변희봉 분)은 모두 결정적인 순간에 승부수를 던지는데, 승부수가 아닌 무리수인 경우가 발생한다.
실제로 현실에서도 승부수라고 던지는 상황이 누가 봐도 무리수인 경우가 있고, 그런 경우 대부분 무리수로 판명될 때가 많다. <양자물리학>에서 자신은 스스로 신념을 가지고 승부수라고 생각하면서 무리수를 띄우는 모습을 보면서, 어쩌면 우리 각자가 확신했던 승부수가 애초부터 무리수였을 수도 있겠구나 생각하게 된다.
<양자물리학>은 “모세의 지팡이가 권능이 있는 게 아니라, 지팡이를 든 모세가 권능이 있다.”라는 대사를 던지는데, 멋진 말이 분명하지만 영화 속 상황과 완벽한 싱크로율을 발휘하기에는 뭔가 생략돼 있는 게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된다.
<양자물리학>는 톱A급 배우가 출연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배우가 뛰어난 연기력과 케미를 발휘하는데, 철학적인 가치관을 대사를 통해 너무 전면에 내세우려고 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스토리텔링에 녹아들어가게 했으면 어땠을까 생각하게 된다.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