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ENM, 2019년도 연간 실적발표…매출 3조7898억·영업익2694억 등 全부문 흑자

[RPM9 박동선기자] 엔터 라이프스타일 기업 CJ ENM(대표이사 허민회)이 어려운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2019년 뚜렷한 성장을 이뤄냈다.

13일 CJ ENM은 금감원 공시(DART)를 통해 2019년도 연간 실적을 공개했다.

공개된 바에 따르면 CJ ENM은 1조141억원(영업익 427억)의 4분기 매출과 함께 2019년 한 해 동안 △연간 매출액 : 3조7897억원(전년대비 14.5%↑) △영업익 : 2694억원(전년대비 9.5%↑) 등의 실적(한국채택국제회계 (K-IFRS) 연결기준)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내외적인 시장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미디어·커머스·영화·음악 등 CJ ENM 전 사업영역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모은다.

우선 미디어부문에서는 '사랑의 불시착', '호텔 델루나', '신서유기7' 등 킬러콘텐츠들의 활약과 함께 중간 광고판매 확대 등 TV 광고(8.5%↑)와 디지털 광고 매출(22%↑) 등의 증가로 연간 매출액 1조6784억원(영업익 709억원)을 달성했다.

CJ ENM, 2019년도 연간 실적발표…매출 3조7898억·영업익2694억 등 全부문 흑자

또 커머스 부문은 A+G(엣지), 장미쉘바스키아, 지스튜디오 등의 단독 브랜드 상품 판매의 호조세와 일부 해외법인 및 카탈로그 등 저수익 사업 구조조정을 토대로 건실한 사업토대를 만들어내면서 1조4273억원의 매출(전년 대비 10.3%↑)과 1492억원의 영업익(전년대비 20%↑) 등을 기록했다.

영화부문에서는 칸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4관왕을 차지한 '기생충'을 비롯해, 극한직업·나쁜 녀석들 등 자체기획 작품들의 박스오피스 활약을 토대로 3493억원원 연간 매출액(영업익 436억원)을 기록했으며, 음악부문은 신규 아티스트에 대한 투자확대를 중심으로 수익면에서는 다소 부진한 가운데서도 3348억원의 매출(영업익 56억원)을 기록하며 단단한 흐름을 보였다.

이렇듯 다방면의 성과를 거둔 CJ ENM은 △미디어 : 오리지널 콘텐츠 강화와 TV·디지털 통합광고 확대 △커머스 : 단독 브랜드 확대 및 채널별 시너지 확대 △영화 : 미국 비롯 글로벌 사업 가속화 △음악 : 빌리프랩, TOO 등 미래역량 강화 등 글로벌 IP 경쟁력 강화와 유통채널 확대 중심의 세부적인 방향성과 함께 2020년 매출액 3조8000억원, 영업이익 3100억원을 목표하고 있다.

CJ ENM 관계자는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도 CJ ENM은 콘텐츠 본연의 가치에 집중해 견조한 실적 성장과 글로벌 진출을 적극적으로 이어 나갔다”며 “올 해에는 콘텐츠 HIT RATIO를 더욱 강화하고 단독 브랜드 사업과 글로벌 및 디지털 사업 확대로 수익 성장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동선 기자 (dspark@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