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신차 시장이 2013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며 극심한 부진에 시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는 '2024년 자동차 내수시장 분석' 보고서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자동차 신차 판매 대수는 163만5000대로 전년 대비 6.5% 감소했으며, 국산차는 7.3% 감소한 134만6000대, 수입차는 2.5% 감소한 28만8000대를 기록했다. 신차 시장은 코로나 이후 감소세인 가운데, 가계부채 증가와 신차 구매지원 종료 등 소비심리의 위축과 전기차 수요 둔화 등으로 2023년 하반기부터 감소세가 심화하며 2024년 매 분기 최근 평균 판매 대수를 밑돌았다.
2024년 신차 평균 구매가격은 2.3% 증가한 5050만만원으로 증가세를 지속했다. 여기서 신차 평균 구매가격은 신규등록 차량 모델별 구매가(취득금액, 부가가치세)의 합계를 말한다.
중고차 시장도 성장세가 최근 정체되었으나, 2024년은 0.6% 감소한 242만8000대로 전년 수준을 유지하며 신차 대비 비교적 양호했다.
2024년 신차 판매의 주요 특징으로는, 자영업자와 청년 및 장년층 등 경기민감 수요층 중심으로, 자금 부담이 큰 신차 수요가 더 크게 위축됐다.
화물차 등 상용차 판매는 전년 대비 21.4% 감소하여 승용차보다(-3.9%) 부진했는데, 경기 부진에 따른 구매 심리의 위축과 인기 모델의 단종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영업자가 애용하는 1t 화물차(-26.3%)는 친환경 모델 출시에도 불구하고 경유 모델 대비 높은 가격, 충전 불편 등으로 경유 모델 수요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일부는 중고차 구매로 전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차 구매는 20대와 장년층(50대, 60대)에서 많이 감소했지만, 중고차는 60대 이상에서만 증가하여 경기 변화에 민감한 수요층에서 신차 판매가 더 많이 감소했다.
장년층의 평균소비성향 회복 지연, 탄탄한 20대의 중고차 수요 등 소비 여력의 축소와 신차 가격 상승세에 따른 가격 부담 등으로 청년과 장년층의 중고차 선호도가 높아졌을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등의 전반적 판매 감소 속에 하이브리드는 고성장세를 지속했다.
풀 하이브리드(마일드 HEV제외)는 국산 브랜드의 SUV 하이브리드의 인기와 일본 브랜드의 판매 회복으로 두 자릿수의 증가세(+29.2%)를 이어가며 38만9000대가 판매됐다.
전기차(BEV)는 승용차 증가에도 불구하고 1t 화물차 판매가 전년 대비 절반 아래로(-53.2%) 감소해 전기차 2년 연속 감소의 원인이 되었으며, 침투율(시장 점유율)은 9.0%로 전년 대비 0.3%P 하락했다. 지난해 주요국의 전기차(BEV) 시장 점유율은 중국(승용) 27.3%, 미국 7.8%, 유럽(승용) 15.4%다.
SUV, 하이브리드 선호 등 고급화되는 수요 속에 전기차는 가격 중시 성향이 증가했다. 전기 승용차는 신차효과 등으로 12만2000대가 판매되어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5.9%), 평균 판매단가는 보급형 모델 증가로 17.2% 하락한 5590만원을 기록했다.
승용차 전반으로는 수요가 고급화되고 있으나, 전기차에서는 소형급 신차의 인기로 3000~4000만원대 판매가 전년 대비 가장 크게 늘어(+178.8%), 가격 경쟁력 높은 모델의 선호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5000만원대는 +14.9%, 6000만원대는 -34.8%를 기록했다.
KAMA 강남훈 회장은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급격한 통상환경의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소비심리 둔화와 전기차 가격경쟁 등으로 국산차의 내수와 수출 모두 어느 때보다 어려운 여건에 직면해 있다”라고 말하며, “개별소비세 한시 감면의 연내 유지, 노후차 교체 시 개별소비세 감면의 조속 시행 등 적극적 수요 촉진이 필요하고, 특히 중국 브랜드의 진출 확대까지 더해져 더욱 치열해진 전기차 시장의 국내기업의 제조 경쟁력 제고를 위한 R&D 세액공제 확대와 대당 구매보조금 한시적 확대, 충전요금 할인 부활 등 소비자 인센티브 확대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강 회장은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주력구매층의 고령화와 청년층의 신차 시장 참여도의 지속 감소 등 구조적 변화에 맞는 수요 촉진 정책도 검토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임의택 기자 ferrari5@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