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모든 자동차 속에는 볼보가 들어있습니다. 바로 여러분의 생명을 지키는 안전벨트를 통해서입니다” 볼보자동차는 자동차 역사 120년 동안 개발된 안전장치 중 가장 위대한 발명품으로 손꼽히는 3점식 안전벨트(3-point Safety Belt)의 탄생 50주년을 맞았다고 밝혔다. 지난 50년간 생명 지킴이로 자리잡아온 3점식 안전벨트는 1959년 볼보자동차의 엔지니어, 닐스 볼린(Nils Bohlin)에 의해 세계최초로 선보였다. 볼보자동차는 이미 1957년부터 앞좌석에 2점식 안전벨트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장착하고 이용해왔다. 하지만 2점식 안전벨트의 경우 버클이 탑승자의 가슴(흉곽) 근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사고 시 연약한 신체장기에 더 심각한 부상을 입히게 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당시 볼보자동차의 사장인 거너 엔겔라우(Gunnar Engellau)는 항공기의 조종사 안전장치를 개발하던 닐슨 볼린(Nils Bohlin)을 안전기술자로 채용했다. 볼린은 안전벨트의 한 선은 가슴을, 그리고 다른 한 선은 허리를 가로질러야지 사고 발생시 상체와 하체가 모두 좌석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그가 직면했던 가장 어려운 문제는 사용하기 간편하면서도 탑승자 보호효과가 있는 벨트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었는데, 이는 탑승자들이 벨트를 한 손으로도 맬 수 있어야 했기 때문이었다. 이 같은 운전자의 운전패턴과 사고 시 충격의 이동을 연구하던 볼린은 3점식 안전벨트를 위한 4가지 황금률를 개발하게 되었고, 1958년 처음 특허출원을 하게 됐다. 이후 1959년 볼보는 아마존(Amazon) 120과 PV544에 처음으로 3점식 안전벨트를 도입하며 업계 최초로 안전벨트를 기본사양으로 장착하였다. 또한 기존 2점식에 비해 착용이 불편하다는 시각으로 착용을 꺼리는 이들을 위해 전 차량에 3점식 안전벨트를 장착하기에 앞서, 모든 안전벨트모델을 대상으로 일련의 모의 충돌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볼보의 3점식 안전벨트가 탑승자 안전보호 측면에서 최고점을 기록했다.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1963년 볼보는 3점식 안전벨트가 아직 도입되지 않은 미국 및 다른 여러 국가에서 판매되는 모든 볼보 차량에 3점식 안전벨트를 장착하기 시작했다. 또한 보다 많은 이들의 안전을 위해 볼보자동차는 다른 자동차 생산업체들이 사용할 수 있게 허가를 하였고, 이를 통해 오늘날 전 세계에 선보이는 모든 자동차에는 볼보가 개발한 3점식 안전벨트가 탑재되게 되었다.
3점식 안전벨트가 1960년대에 도입된 이후로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운전자의 생명을 지켰는지에 대해 정확한 통계수치를 제시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전세계적으로 통합된 교통안전통계수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현재까지 대략 100만 명 이상의 운전자가 교통사고 시 안전벨트로 인해 목숨을 구할 수 있었으며, 그의 몇 배에 달하는 사람들이 심한 부상을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예측한다. 또한 유럽에서는 안전벨트착용으로 인해 매해 교통 사고 사망률이 40%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2005년 EU국가에서는 약11,700명의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교통사고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추정된다. 독일의 경우만 보면 약 2,000명이 안전벨트 덕분에 목숨을 구했다. 만약 운전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더라면, 그 해 독일의 교통사고 사망건수는 2배에 달했을 것이다. 2004년 미국에서는 안전벨트 착용으로 인해 15,200명이 교통사고에서 목숨을 구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 비용도 500억 달러 감소하였다. 오늘날 3점식 안전벨트는 중요한 안전장치로 자리잡았지만, 아직까지도 볼보자동차의 과제는 남아있다. 이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착용할 수 있고, 사고 시 좀 더 효과적으로 탑승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안전벨트를 발전시키고,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안전벨트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도 안전벨트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2008년 볼보는 XC60를 출시하면서 PRS(Pre-Prepared Restraints) 기능을 선보였다. PRS는 충돌 방지 시티 세이프티(City Safety) 기능과 동일한 레이저 센서를 사용한다. 이 레이저 센서는 에어백 및 장력조절장치와 함께 상호작용하여 충돌 시 에어백과 장력조절장치가 보다 효과적으로 반응하게끔 조절한다. 이외에도 최근 늘고 있는 SUV 차량이 전복 시 탑승자가 안전벨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점식 안전벨트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볼보자동차코리아 김철호 대표는 “탑승자의 안전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자동차 메이커는 물론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이다“ 라고 하며, “앞으로도 3점식 안전벨트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는 안전장치를 개발하고 알리는 역할을 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볼보자동차는 올 한해 3점식 안전벨트의 50주년을 기념하는 다채로운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먼저 안전벨트의 중요성을 알리고, 착용율을 높이기 위한 50주년 기념 로고를 공개했다. 빨간색을 이용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사람의 형상을 통해 안전벨트가 생명을 구하는 끈이라는 메시지를 표현했다. 이번에 공개된 50주년 기념로고는 올 한해 세계 각국의 모터쇼를 비롯한 자동차 축제에서 안전벨트의 역사와 중요성, 발전상 등을 알리는 전시와 함께 활용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볼보자동차의 안전에 대한 철학을 강조한 체험이벤트와 행사 등이 국내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펼쳐질 계획이다.
[볼보의 3점식 안전벨트, 지난 50년간 운전자 생명지킴이로 자리잡다] 지난 50년간 생명 지킴이로 자리잡아온 3점식 안전벨트는 1959년 볼보자동차의 엔지니어, 닐스 볼린(Nils Bohlin)에 의해 세계최초로 선보였다. 1950년 후반 볼보는 충돌사고 발생시 차량 내부 장치로 인해 탑승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거나 부상 정도를 낮추기 위해 여러 가지 관련 해결책을 개발해 냈다. 그 해결책들 가운데는 사고 시 접히는 스티어링 칼럼, 패딩 대시보드, 앞 좌석에 부착된 대각선형 2점식 안전벨트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볼보는 이미 1957년부터 앞 좌석에 2점식 안전벨트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고정장치를 장착해 놓았다. 하지만 이른바 ‘대각선형 벨트’으로 볼보가 추구하는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기는 역부족이었다. 이는 안전벨트의 버클이 탑승자의 가슴(흉곽) 근처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사고 시 안전벨트가 탑승자를 보호하기는커녕 오히려 탑승자의 연약한 신체장기에 심각한 부상을 입히게 되었다. 거너 엔겔라우(Gunnar Engellau) 당시 볼보 사장은 가족 중 한 명이 교통사고를 당한 후 교통사고의 끔찍함을 절감하게 되었다. 친척 중 한 명이 교통사고로 사망했는데, 사망 이유가 바로 2점식 안전벨트의 치명적 결점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엔겔라우 사장은 항공기의 조종사용 안전장치를 만들던 엔지니어 닐스 볼린(Nils Bohlin)을 안전기술자로 채용하고 더 나은 안전벨트를 만들어 달라고 주문했다.
볼린은 안전벨트의 한 선은 가슴을, 그리고 다른 한 선은 허리를 가로질러야지 사고 발생시 상체와 하체가 모두 좌석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그가 직면했던 가장 어려운 문제는 사용하기 간편하면서도 탑승자 보호효과가 있는 벨트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었는데, 이는 탑승자들이 벨트를 한 손으로도 맬 수 있어야 했기 때문이었다. 1958년 닐스 볼린은 3점식 안전벨트의 특허를 출원하게 된다. 볼린이 3점식 안전벨트 디자인에 도입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안전벨트를 개발하는데 가장 중요시 했던 것은 바로 다음과 같은 4가지 황금률이었다. 첫째, 안전벨트는 허리 혹은 무릎 위를 지나는 벨트와 가슴을 가로지르는(생리학적 관점에서 봤을 때 정확하게 대각선방향으로) 벨트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즉, 다시 말해 벨트가 골반과 흉곽 사이를 가로질러야 한다는 뜻이다. 둘째, 벨트의 버클부분이 의자 옆 부분에 위치해야 한다. 셋째, 착용 후 벨트는 꼭지점이 바닥을 향하게 되면서 V자 형태를 띠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벨트는 단단하게 고정 되며 급작스러운 신체의 움직임이 있을 때에도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볼린이 개발한 V자형 3점식 안전벨트와 그리스올드(Griswold)가 발명했던 기존의 Y자형 3점식 안전벨트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볼린이 발명한 안전벨트는 고도의 혁신적 발명이라기 보다는 기하학적으로 완벽한 구조를 만들어내 효율성을 높인 작품이었다. 볼보 측에서 다른 자동차 생산업체들이 볼린이 특허 출원한 3점식 안전벨트를 사용할 수 있게 허가한 이후로, 전 세계는 안전벨트와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V자형 3점식 안전벨트의 혜택을 온전히 누릴 수 있게 되었다.
[100만 명 이상의 생명을 지켜온 3점식 안전 벨트, 1년에 10만 명 이상의 목숨을 구하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안전벨트를 착용했을 경우 차량 충돌 시 생존 확률은 50퍼센트 증가한다. 3점식 안전벨트는 지금까지 그랬듯이 앞으로도 차량 안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안전 벨트의 착용률이 증가한다면 보다 많은 생명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 “3점식 안전벨트의 우수한 성능은 사고의 종류와 관계없이 모든 탑승자의 안전을 강화시켜 준다는 사실에서 입증됩니다. 그리고 3점식 안전벨트의 효과성은 앞좌석과 뒷좌석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차량 정면 충돌 시 안전벨트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는 차량 전복 시 탑승자의 차량 이탈도 방지합니다” 라고 한스 니스(Hans Nyth) 볼보자동차 안전센터장은 말한다. 안전벨트의 주요 기능은 충돌 시 탑승자의 차량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교통 사고 시 차량 이탈자중 무려75%가 사망에 이른다. 전반적으로, 안전벨트는 차량 충돌로 인해 탑승자가 사망하거나 부상당할 확률을 약50% 감소시켜준다. 3점식 안전벨트가 1960년대에 도입된 이후로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운전자의 생명을 지켰는지에 대해 정확한 통계수치를 제시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전세계적으로 통합된 교통안전통계수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현재까지 대략 100만 명 이상의 운전자가 교통사고 시 안전벨트로 인해 목숨을 구할 수 있었으며, 그의 몇 배에 달하는 사람들이 심한 부상을 피할 수 있었던 것으로 예측한다. 유럽에서는 안전벨트착용으로 인해 매해 교통 사고 사망률이 40%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2005년 EU국가에서는 약11,700명의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교통사고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추정된다. 독일의 경우만 보면 약 2,000명이 안전벨트 덕분에 목숨을 구했다. 만약 운전자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더라면, 그 해 독일의 교통사고 사망건수는 2배에 달했을 것이다. 2004년 미국에서는 안전벨트 착용으로 인해 15,200명이 교통사고에서 목숨을 구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 비용도 500억 달러 감소하였다. [여전히 막대한 잠재력] 안전벨트 착용률은 각 나라별로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러시아의 사할린 섬과 같은 몇몇 지역에서는 안전벨트 착용률이3.8퍼센트 정도에 불과하다. 반면, 프랑스, 독일, 스웨덴, 호주, 그리고 캐나다와 같은 고소득 국가는 안전벨트 착용률이 매우 높은 편이다. 이러한 국가들은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이 무려 90-99퍼센트에 달하며 뒷좌석 안전벨트 착용률도 80-89퍼센트에 달한다. 미국은 이 분야와 관련된 규정이 미흡한 관계로 안전벨트 착용률이 계속해서 낮은 수준을 기록해왔다. 그러나 2008년 앞좌석 안전벨트 착용률이 평균 83퍼센트에 달하는 신기록을 달성하게 되었다. 2004년 전세계 차량등록건수는 약 6억 2천만대였으며, 그 중2억 7천만대는 유럽, 2억 2백 만대는 미국 지역 차량이었다. 2008년 말 기준으로 전세계 차량등록건수는 약 8억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2008년 전세계 교통사고 사망건수는1백 2십만 건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신규등록차량 및 운전자 수의 증가는 대부분 유럽 및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차량등록대수가 높은 나라들의 경우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전벨트가 단연코 생명과 직결되어있는데도 말입니다” 라고 한스 니스 센터장은 덧붙인다. 미국에서는 안전벨트 착용률이 1퍼센트만 증가해도 일년에 270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된다. 유럽 지역에서 실시된 연구조사에 따르면, 만일 EU지역에서 안전벨트 착용률이 가장 높은 국가 수준으로 모든 EU국가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한다면 매해 7,000명의 목숨을 더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오랫동안 자동차를 사용해온 산업 국가들의 경우 안전벨트 사용률을 높인다면 이로 인해 보다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거라 예측된다. 그리고 아시아,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우 이러한 가능성은 더욱 무궁무진하다. 왜냐하면 이들 국가의 자동차 보유대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의 안전벨트 착용률이 유럽국가들 수준에 이르게 되면, 매해 몇만 명의 목숨을 더 살릴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전 세계적으로 매해 10만 명의 목숨을 더 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960년대 이후로 볼보 자동차는 안전벨트 착용률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왔다. 예를 들어, 닐스 볼린은 여러 나라를 돌면서 3점식 안전벨트의 효과성에 대해 홍보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국 시장에 3점식 안전벨트를 도입시켰다. 최근 몇 년간 볼보 자동차는 "Buckle up"과 같은 광고캠페인을 벌여왔으며, 동시에 안전벨트를 보다 효과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세계적으로 공공 기관 및 민간 부문에서는 안전벨트 착용률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탑승자 안전보호를 위한 볼보의 노력] 다소 단순하지만 매우 효과적인 기계적 디자인의 3점식 안전벨트를 바탕으로 볼보는 탑승자의 안전보호를 극대화하기 위해 최첨단 안전 시스템을 개발해왔다. 아래 제시된 목록은 1959년 3점식 안전벨트를 처음 발명한 이래로 안전시스템 개발을 위해 볼보가 걸어온 여정을 잘 보여준다. 1959 볼보의 혁신, 3점식 안전벨트 도입 (앞좌석) 1967 안전벨트, 표준사양으로 장착 (뒷좌석) 1969 3점식 자동잠김 안전벨트(앞좌석) 1971 안전 벨트 알리미 (앞좌석) 1972 3점식 안전벨트 (뒷좌석) 1986 3점식 안전벨트 (가운데 뒷좌석) 1987 기계적 벨트 프리텐셔너 1991 탑승자 키에 따른 자동조절안전벨트 (앞좌석) 1992 파이로테크니컬 벨트 프리텐셔너 (앞좌석) 1993 3점식 자동잠김 안전벨트 (모든 좌석) 1996 안전벨트 장력조절장치 (앞좌석) 1999 파이로테크니컬 벨트 프리텐셔너 (모든 좌석) 1999 허리벨트 장력조절장치 (앞좌석) 2003 안전벨트 알리미 (모든 좌석) 2003 파이로테크니컬 벨트 프리텐셔너 (앞좌석 허리벨트) 2003 어댑티브 장력조절장치 (앞좌석) 2007 성인 및 아동용 개별2단계 장력 조절장치(뒷좌석) 2008 저속 충돌 어댑티브 장력조절장치(PRS) (앞좌석) RPM9 [ http://www.rpm9.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