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DAXA가 위믹스의 상장폐지를 밝힌 가운데 위믹스측도 맞대응을 선언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유통량 관련 공시 내용이 계속 틀리는 것은 중대한 공시 위반이자 신뢰성 문제여서 상장폐지는 당연하다는 입장과 정확한 기준도 없는 상황에서 상장폐지는 과도한 규제라는 주장이 대립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이번 사건이 최근 루나와 FTX 사태로 정부의 눈치를 봐야하는 DAXA가 정부 규제가 강화되기 이전에 위믹스를 이용해 자체적으로 강력한 규제를 하는 것처럼 눈속임하려는 꼼수에 불과하다는 의혹도 나오고 있어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30일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24일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이 속한 디지털자산거래소공동협의체(DAXA)가 위믹스의 거래지원을 폐지한다고 밝힌 이후 위믹스와 DAXA간에 날선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중대한 공시위반에 신뢰성 하락으로 상장폐지가 당연하다는 DAXA측의 입장과 충분히 소명했음에도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제재도 과도하다는 주장이 대립되고 있다.
DAXA 측은 △위믹스의 중대한 유통량 위반 △투자자들에 대한 미흡하거나 잘못된 정보 제공 △소명 기간 중 제출된 자료의 오류 및 신뢰 훼손 등을 이유로 상장폐지를 결정한다고 설명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유통량에 대한 공시 위반이다. DAXA가 지적한 부분은 위믹스가 제출한 유통량이 유통 계획보다 많다는 것이다. 주식으로 치면 발행주식의 총수에서 자기주식 수를 뺀 ‘유통량’이 발행주식보다 많다는 뜻이다. 또 수차례 진행된 소명 과정에서도 잘못된 자료를 제공하는 등 회사의 정보 파악과 관리 능력을 신뢰할 수 없어 상장폐지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위믹스가 DAXA에 제출한 공시와 위믹스 분기보고서, 코인마켓캡 공시자료에서 유통량에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위믹스 측도 이를 확인하고 수정 보완해서 소명했지만 계속 오류가 발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유통량 오류도 문제지만 수차례 소명 과정에서도 계속 오류가 생기자 DAXA측이 위믹스의 정보 파악과 관리 능력을 신뢰할 수 없다고 판단해 상장폐지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위믹스 측은 갑질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위믹스 장현국 대표는 온라인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DAXA의 위믹스 상폐 결정은 이를 주도한 업비트의 슈퍼 갑질"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위믹스도 지난 10월 30일 발표한 유의종목 지정 사유에 대한 소명에서 “예치돼 있는 물량은 시장에 유통되는 것이 아니므로 유통량 산정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며 “이후 이 부분에 관해 거래소와의 의견 차가 있음을 확인했고 이를 유통량으로 보아야 한다는 거래소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유통량을 업데이트했다”고 설명했다.
상장 폐지 이후에도 반박문을 통해 “위믹스의 거래량 불확실에 대해 소명을 넘어 증명을 했다”며 “DAXA가 주장한 훼손된 신뢰에 대해 명확히 알려주면 다시 증명하겠다”고 언급했다.
이건호 전 KB국민은행장도 DAXA의 위믹스 상장폐지 결정에 대해 "매우 불합리할 뿐 아니라 상당한 불법의 소지가 있다"고 비판하며 위믹스의 편을 든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DAXA의 위믹스 상장폐지는 터무니없는 제재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주식시장의 경우 유통 관련 공시를 위반하면 경고나 과징금에서 끝난다. 하지만 이번 사태의 경우 정확한 기준이 없는 데다 경고 등의 제재 조치 없이 상장폐지라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몰고 간 것은 다른 속내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법적 근거나 거래소 내 명확한 기준 없이 거래량 공시 위반과 신뢰성 문제를 얘기하며 상장폐지라는 극단적인 제재를 가하는 것은 충분히 논란거리”라며 “최근 FTX의 파산 신청 등 거래소들의 문제로 정부 당국이 거래소를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이 예상되는 만큼 선제적으로 ‘위믹스’라는 대어를 이용해 대외적으로 이용하는 꼼수라는 세간의 의혹이 있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실제 DAXA는 테라·루나 사태로 정치권의 질타가 이어지자 주요 가상자산거래소들이 '루나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한 지난 6월에 만든 협의체다. 또 지난 15일 김용태 금융감독원 디지털금융혁신국 국장이 "가상자산 관련 정책이 안정적인 거래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먼저 만들자는 것으로 바뀌었다“고 말한 바 있다. 테라·루나 사태, FTX 사태 등으로 정책 방향을 바꾸기로 했다는 것이다.
즉 태생 자체가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DAXA가 당장 표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위믹스’를 이용해 ‘안전한 거래소’라는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꼼수라는 것이다.
한편, 위메이드는 지난 28일과 29일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 코빗을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가상자산 위믹스의 거래 지원 종료 결정의 효력을 정지시켜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제출했다.
이상원 기자 sllep@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