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안 감독의 ‘싱송생송(Sing Song Sang Song)’은 2018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상영작인 단편영화이다. 대대로 의사 집안의 장녀(둘째)인 아린(옥경민 분)은 모두의 기대와 다르게 뮤지컬 배우를 꿈꾸며 예대 입시에 합격하는데, 가족은 의대에 붙었다고 알고 있다. 오빠인 아람(윤종석 분)과 단둘이 서울에 올라와 살고 있는 아린은 교내에서 첫 낭독공연의 주연을 따내고, 이를 알게 된 아람은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한다.
이 작품은 제목처럼 리듬감이 넘치는 뮤지컬영화인데, 대극장 공연보다는 소극장 뮤지컬 같은 정서를 담고 있다. 시트콤 같은 설정은 많은 배우들이 등장하지 않아도 이야기를 이끌어 가는데 융통성을 발휘하게 만든다.
◇ 영화 제목처럼 리듬감이 넘치는 뮤지컬영화
‘싱송생송’은 제목부터 리듬감이 넘치는 뮤지컬영화이다. 심란한 마음의 상태를 뜻하는 ‘싱숭생숭’의 단어적인 이미지를 연상하게 만드는데 마음의 상태, 음악에 대한 표현 교차해 연상된다.
오빠인 아람과 나누는 대화형 뮤지컬 넘버는 서정성보다는 메시지 전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아린이가 혼자 부르는 뮤지컬 넘버는 내면 심리를 주로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린은 뮤지컬 배우를 꿈꾸는 예대생이기 때문에 영화 속에서 노래를 부를 때 뮤지컬영화라는 장르적 표현이 펼쳐지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공연의 연습 과정처럼 보이기도 한다.
◇ 소극장 뮤지컬의 정서
‘싱송생송’은 대규모의 합창과 군무가 펼쳐지지 않는데, 대공연장의 분위기보다는 소극장 뮤지컬 같은 느낌을 준다. 영화 속에서 아린이 공연할 장소가 그리 크지 않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절규하는 감성, 감미로운 음악보다는 잔잔하고 재미있는 음악이 주로 전달돼 소극장에서 스토리텔링 위주로 진행되는 뮤지컬과 ‘싱송생송’의 정서가 닮아있다고 볼 수 있다.
◇ 시트콤 같은 설정은, 많은 배우가 출연하지 않아도 이야기의 연결에 정서적인 융통성을 부여할 수 있다
‘싱송생송’에서 시트콤 같은 설정은, 많은 배우가 등장하지 않아도 이야기를 연결하는데 정서적인 융통성을 부여한다. 일반적으로 뮤지컬에는 많은 코러스가 들어가고 뮤지컬영화 또한 단편영화를 기준으로 볼 때는 상대적으로 많은 인원이 필요한데, 설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것을 ‘싱송생송’은 보여주고 있다.
의대 집안에서 예술대학에 진학하고, 그것도 가족들 모르게 계속 속이고 있으며 공연까지 하는 상황의 갈등과 반목을 풀어 가기 위해서는 암시와 복선을 비롯해 많은 장치와 시간이 필요한데, 그런 부분들을 약하게 다루거나 생략해도 관객들이 허용해 줄 수 있을 정도로 설정을 조절해 만들었다는 점이 돋보인다.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