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웅 감독의 ‘좋아하기는 하지만(Love letter)’은 2018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상영작인 단편영화이다. 인기 없는 반장 기대(김지성 분)는 지연(김유나 분)을 좋아한다. 기대는 자신을 괴롭히는 종수(강채민 분)가 싫은데, 그러던 어느 날, 종수가 지연에게 고백을 하려고 한다.
영화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심리를 다루고 있는데, 남학생이 아닌 여학생에게도 보편적으로 해당될 수 있도록 영화는 분위기를 설정하고 있다. 이 영화는 초등학생들의 이야기가 아닌 청춘들의 이야기라고 해도 이야기는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 정성스럽게 쓴 손 편지를 전하려는 기대, 캐릭터를 명확하게 한다
‘좋아하기는 하지만’에서 기대는 지연에게 정성스럽게 손글씨로 쓴 편지를 보내려고 한다. 메일로 편지를 보내는 시대를 지나, 이젠 톡이나 문자로 대체되는 시대에서 아날로그적 감성을 보여주는 기대는 영화 초반부터 캐릭터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있다.
손 편지는 마치 문학작품 같은 정서를 불러일으키는데, 불과 오래전 이야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손 편지가 마치 예전 시대의 흔적인 것처럼 느껴지는 점은 격세지감을 느끼게 만든다.
◇ 남학생의 내면뿐만 아니라 여학생의 내면을 통해 균형감을 맞추다
‘좋아하기는 하지만’은 남학생인 기대의 내면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지연의 친구들(김태림, 권시현 분)의 대화를 통해 여학생들도 멋있게 생겼다고 하면서 좋아하는 남학생의 이야기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영화의 제목은 남녀 학생 모두에게 해당될 수 있다는 것을 통해, 기대가 품는 마음은 특정한 이야기가 아닌 보편적으로 해당되는 이야기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 균형감을 맞춘 이야기는 보편적인 가치라는 시야로 바라볼 수 있다.
◇ 아역배우들로 펼치는 영화
‘좋아하기는 하지만’에서 대부분의 등장인물은 아역배우이다. 아역배우의 연기력은 영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아역배우가 영화를 살렸다고 하는 평을 듣는 영화들도 다수 있다.
특정 두세 명의 아역배우만 등장하는 경우 아역배우의 개인적 역량에 따라 연기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지만, ‘좋아하기는 하지만’처럼 다수의 아역배우가 등장하는 경우 개인적인 역량과 함께 감독의 전체적인 디렉팅이 동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김지성과 김유나는 실제의 모습인 것처럼 자연스럽게 연기를 펼치는데, 과도하게 연기인 것처럼 보이지 않고 실제 어린아이들의 풋풋한 모습으로 보인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런 모습은 둘만 공유하는 마음이 있다는 것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종수 친구들과 같은 반 친구들로 나온 아역배우들은 어색하지 않게 위치를 잡고 움직였는데, 결국 주연 배우들이 돋보일 수 있도록 맡은 바 역할을 잘 소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